LPM
HI-FLEX
저밴딩 LPM
Low Pressure Melamine Laminate
HI-FLEX
저밴딩 LPM
■ 국내 최초 개발
단면 프레스 접착에도 보드의 밴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LPM
시트의전면 또는 후면에만 LPM 사용시 배면의 소재 선택 범위가 넓어짐
가구도어 전후면
- 전면 무광 또는 특수 EMBO / 후면 무광
- 프레스 성형이 용이하고 휨 방지에 유리함
가구도어 후면(단면)
- 전면 하이글로시용 PET, 후면에 HI FLEX LPM 적용
- 단면 프레스 접착 후 전면 유광 PET PUR접착 용이
가구몸통용 뒤 박판(2.7~4.5MM)
- 사용중인 일반LPM 몸통용 칼라와 EMBO를 박판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
- 최소 밴딩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함
PP와 HI-Flex LPM
비교 실험 보고서
구분 | 친환경성 | 표면물성 (내수성, 내스크래치성, 내오염성) |
제품의 장/단점 |
---|---|---|---|
P.P(0.1MM) | 우수 | 내수성 : 우수 내열성 : 취약 내스크래치성 : 연필경도 – 미흡(H~2H) 내오염성 : 기름때 및 정전기 등에 취약 잔류 먼지 지속 발생 |
장점 : 내수성 우수 단점 : 열에 약하고 정전기에 취약 닦임성 미흡. 접착력 불안정. |
FLEX 무밴딩 LPM |
우수 | 내수성 : 우 수 내열성 : 우 수 내스크래치성 : 연필경도–최하 5H 이상 (일반적으로 7H 이상) – 내오염성 : 정전기 발생이 없고 닦임성 및 취급성 우수 |
장점 – 기존 LPM과 동일한 표면과 EMBO표현 가능 – 내열성, 최소 방염성 – 접착제 없는 열압접착으로 보드를 한번 더 멸균 및 항균 효과 단점 – 최소 냉각시간 필요 |
구분 | 친환경성 | 표면물성 (내수성, 내스크래치성, 내오염성) |
제품의 장/단점 |
---|---|---|---|
P.P (0.1MM) |
우수 | 내수성 : 우수 내열성 : 취약 내스크래치성 : 연필경도 – 미흡(H~2H) 내오염성 : 기름때 및 정전기 등에 취약 잔류 먼지 지속 발생 |
장점 : 내수성 우수 단점 : 열에 약하고 정전기에 취약 닦임성 미흡. 접착력 불안정. |
FLEX 무밴딩 LPM |
우수 | 내수성 : 우 수 내열성 : 우 수 내스크래치성 : 연필경도–최하 5H 이상 (일반적으로 7H 이상) – 내오염성 : 정전기 발생이 없고 닦임성 및 취급성 우수 |
장점 – 기존 LPM과 동일한 표면과 EMBO표현 가능 – 내열성, 최소 방염성 – 접착제 없는 열압접착으로 보드를 한번 더 멸균 및 항균 효과 단점 – 최소 냉각시간 필요 |
구분 | PP | HI-Flex LPM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개념 |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인 PP에 프라이머 처리, 인쇄 후 UV코팅 또는 일반우레탄 코팅 마감./용제를 사용하기에 반드시 48시간 이상 숙성 필요함 |
모양지에 멜라민과 요소수지를 함침하여 건조시킨 Sheet. PB, MDF, HDF등 목재에 열압(고온,저압) 접착하여 사용. | |
친환경성 (대형챔버) |
우수-업체 및 코팅조건에 따라 변수 있슴 (단, 연소 시 일정량의 CO와 CO2 발생) |
최우수- 고열,고압 접착방식으로 육안 식별상 문제 없을 경우 품질이 균일함 | |
방염/내열/내한성 | 취약(내한성 특히 취약, -5도 이하 조직 결빙) | 우수 | |
접착력 | 접착정도의 외부변수가 큼 (기온이 낮을 때 문제) |
완벽함 / 육안검수로 확인 가능 | |
내구성 | 50~100 cycle | 200 cycle 이상 | PP- 코팅방법과 엠보처리에 따라 상이 |
내스크래치성 | HB ~ 2H | 최하 5H이상(일반적으로 7H이상은 가능) | 일반PP는 스크래치에 취약 엠보PP는내오염성에 취약 |
내오염성 | 생산업체에 따라서 간장, 매직, 약품에 취약 | 매우 우수 | |
장 점 | – 유해성분 미검출(단, VOC 문제될수 있슴) – 보드 유해물질 차단성 우수 – 은폐력 우수 |
– 보드 유해물질 차단성 우수 – 품질의 균일성 – 내마모성(내스크래치성) 우수 |
|
단 점 | – 열과 불에 약함 –VOC 불안정함 – 정전기 및 오염에 취약 – 인쇄품질 떨어짐 – 접착성 떨어짐 |
– 열압 접착후 쿨링 시간 필요 – 평면가공만 가능 |
구분 | PP | HI-Flex LPM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개념 |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인 PP에 프라이머 처리, 인쇄 후 UV코팅 또는 일반우레탄 코팅 마감./용제를 사용하기에 반드시 48시간 이상 숙성 필요함 |
모양지에 멜라민과 요소수지를 함침하여 건조시킨 Sheet. PB, MDF, HDF등 목재에 열압(고온,저압) 접착하여 사용. | |
친환경성 (대형챔버) |
우수-업체 및 코팅조건에 따라 변수 있슴 (단, 연소 시 일정량의 CO와 CO2 발생) |
최우수- 고열,고압 접착방식으로 육안 식별상 문제 없을 경우 품질이 균일함 | |
방염/내열/내한성 | 취약(내한성 특히 취약, -5도 이하 조직 결빙) | 우수 | |
접착력 | 접착정도의 외부변수가 큼 (기온이 낮을 때 문제) |
완벽함 / 육안검수로 확인 가능 | |
내구성 | 50~100 cycle | 200 cycle 이상 | PP- 코팅방법과 엠보처리에 따라 상이 |
내스크래치성 | HB ~ 2H | 최하 5H이상(일반적으로 7H이상은 가능) | 일반PP는 스크래치에 취약 엠보PP는내오염성에 취약 |
내오염성 | 생산업체에 따라서 간장, 매직, 약품에 취약 | 매우 우수 | |
장 점 | – 유해성분 미검출(단, VOC 문제될수 있슴) – 보드 유해물질 차단성 우수 – 은폐력 우수 |
– 보드 유해물질 차단성 우수 – 품질의 균일성 – 내마모성(내스크래치성) 우수 |
|
단 점 | – 열과 불에 약함 –VOC 불안정함 – 정전기 및 오염에 취약 – 인쇄품질 떨어짐 – 접착성 떨어짐 |
– 열압 접착후 쿨링 시간 필요 – 평면가공만 가능 |